Cloud (3)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방화벽 포트 추가 1. 현재 방화벽 설정 상태 조회 $ firewall-cmd --list-all 2. 오픈할 포트번호 추가 $ filewall-cmd --permanent --add-port=포트번호/tcp --> add 부분을 remove로 바꾸면 해당 포트 삭제 가능 3. 추가 또는 삭제 후 reload 적용(필수) $ firewall-cmd --reload 4. 추가 또는 삭제 후 다시 확인 $ firewall-cmd --list-all [Oracle cloud] postgresql DB 설치 2편 - postgresql 설치 1. putty를 켜고 설치 1편에서 생성했던 private key.ppk 를 경로 선택해서 넣는다. 2. 그림의 1번에는 인스턴스의 공용 IP 주소를 입력하고 그림의 2번 클릭 3. 이제부터는 타 블로그를 따라하면 된다. 굉장히 설명이 잘 되어 있으며 고대로 따라하면 된다. 그리고 putty 접속 후 login as는 위 그림의 2번으로 입력 출처: https://devinspace.github.io/server/2021/07/05/oracle-free-tier-setting/ 서버 설치 접속까지 완료 했으면 이제 PostgreSQL을 설치 해보자. PostgrSQL 공식 사이트 - 설치 가이드 해당 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yum 명령어를 사용한 설치 가이드가 있다. 위 이미지 처럼 PostgreSQL .. [Oracle cloud] postgresql DB 설치 1편 - 인스턴스 생성 1. 인스턴스 생성 컴퓨트 - 인스턴스 클릭 2. 인스턴스 생성 클릭 3. 1번은 인스턴스 이름, 2번은 centos, ubuntu 등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나는 default로 선택되어 있는 oracle linux로 설정. 4. SSH 키를 추가해야 하는데, 해당 키를 생성하기 위해 Putty를 설치해준다. (인스턴스 생성은 우선 대기) 5. Putty를 설치했으면 같이 설치되는 putty key generator를 열고 Action 영역에 Generate를 클릭한다. 그러면 빨강 체크부분에 SSH 키가 생성되며 해당 키를 우선 ctrl+c 복사해 놓는다. 1번의 save public key를 클릭하여 자신이 지정한 디렉터리 폴더 안에 저장한다. 2번은 private key이며, 같은 폴더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