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 : 브라우저 객체 모델의 최상위 객체 (BOM)
- 웹 브라우저의 탭 or 창의 모델을 나타내며 이런 웹 브라우저 객체 모델의 최상위 객체가 window 객체임
- window 객체는 현재 웹 브라우저의 창이나 탭을 표현함
document : 문서 객체 모델의 최상위 객체 (DOM)
- 웹 페이지의 모델을 생성하며 이러한 문서 객체 모델의 최상위 객체가 document임
- window 객체의 속성이기도 함
쉽게 말해,
window : 웹 브라우저 창
document 웹 브라우저 창 안에 보이는 문서
차이 - 1
$('window').height() --> 브라우저 창의 높이, 즉, 현재 보이는 부분의 높이를 구함
$('document').height() -->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여 문서 전체의 높이를 구함
차이 - 2
$('window').load(function){ }); --> 화면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이 웹 브라우저의 메모리에 로드 된 후 콜백함수 실행 (css, js, image 등)
$('document').ready(function{ }); --> DOM 구조가 메모리에 로드되면 인자로 받은 콜백함수를 실행시킨다.
순서로 보자면 document.ready가 실행된 후 window.load 이벤트가 실행된다.
출처:
http://june0313.github.io/2019/02/16/windows-document/
'Web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form> 태그 내에서 엔터키 막기 (0) | 2021.05.27 |
---|---|
제이쿼리 jQuery 란? (0) | 2021.04.22 |